본문 바로가기

코딱지의 육아일기

부모의 양육태도와 마시멜로우 만족지연 실험

반응형

우리는 한 평생을 선택의 연속 속에 살고 있습니다. 각각의 선택에 따라 우리의 삶은 방향이 바뀌고 또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기도 하고...

 

 

저는 처음부터 운명이 있다는 것은 믿지 않았던 터라 이러한 선택의 중요성을 늘 강조하며 살아왔음에도 늘 후회와 실수 속에서 아직까지 방황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제 모습이 지금의 제 모습을 만들었다면 저는 올바른 선택과 나에 대한 통제를 하지 못한 채로 살아왔음이 분명합니다.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이들의 성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칩니다.(아빠와 새덫 재료를 구하는 아들)


생각해 보았습니다. 제가 여태껏 살아오며 범하는 실수들은 어디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까요? 그리고 우리 아이들은 저와 같은 실수를 하지 않고 저보다는 나은 삶을 살게 하기 위해 나는 어떠한 부모가 되어야 할까요??

저는 이제 우리 아이들을 위해 공부를 하고 일기를 쓰고 더 나은 아빠가 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공부를 하면 할수록 아이의 올바른 성장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달려있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는 요즘입니다.

 

마시멜로우 실험은 만족지연 능력 테스트의 대표적인 실험입니다.(새덫 설치를 위해 장비착용)


마시멜로 실험


혹시 여러분은 마시멜로 실험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4살 전후의 아이들에게 그 유혹을 참아내기 어려운 달콤한 마시멜로를 나누어 주고 15분 동안 먹지 않고 기다린 아이에겐 그 보상으로 마시멜로를 한 개 더 주는 실험입니다.

단순히 아이에게 인내심과 참을성을 테스트하는 것과 다름없어 보이는 이 실험은 만족지연 이론의 대표적인 실험입니다. 실험에서 15분 동안 꾹 참고 인내한 아이도 있었고 참지 못하고 결국 먹어버린 아이도 있었죠. 물론 꾹 참아낸 아이에겐 보상으로 마시멜로를 하나 더 주었습니다.

매우 간단해 보이는 이 실험은 14년 후의 결과 때문에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얻게 됩니다.

14년 후 위의 실험에 참가한 아이를 대상으로 학업성취도를 조사한 결과 15분간 인내한 아이의 학업성취도가 전반적으로 높았던 것입니다. 반대로 인내하지 못한 아이들의 경우 문제아가 된 경우도 있었답니다.

 

 

만족지연 능력


만족지연의 사전적 의미(delay of gratification , 滿足遲延) : 자기통제의 하위 영역 중의 하나로 더 큰 결과를 위해 즉각적인 즐거움, 보상, 욕구를 스스로 억제하고 통제하면서 욕구 충족의 지연에 따른 좌절감을 인내하는 능력.

위의 실험은 더 큰 성취를 위해 당장 눈앞의 보상, 욕구를 스스로 억제하고 통제하며 참아내며 그에 따르는 욕구불만에 대한 좌절감을 인내하는 만족지연 능력을 테스트하는 대표적인 실험입니다.

 

만족지연 능력은 더 나은 삶을 사는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아빠와 새덫 만들기)


이러한 만족지연 능력은 아이의 생활 곳곳에 적용해볼 수 있습니다.

우리 집 아이는 아이스크림 먹는 것을 좋아합니다. 당장 냉동실 문을 열어 아이스크림을 달라고 떼를 쓰는 아이에게 밥을 먼저 먹으면 더욱 맛있는 아이스크림을 준다고 말합니다. 밤늦도록 TV를 보고 싶어 하는 아이들에게 내일 아침 유치원을 가서 재미있게 놀고 와서 아이가 좋아하는 더 재미난 TV 프로그램을 보자고 말합니다.

이러한 사소한 일부터 만족지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단순히 기계적인 위의 행동만으로 만족지연 능력을 향상시킬 수는 없다고 합니다.

 

작은 실천부터 우리는 만족지연 능력을 아이에게 만들어 줄 수 있어요.


올바른 부모의 양육태도


만족지연이 우수한 아이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간단하게 예시로 든 위의 사례에서 부모와 아이 간에 신뢰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아이는 부모의 설득을 들으려 하지 않을 것입니다. 즉 아이와의 약속을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신뢰를 바탕으로 자신의 욕구를 통제하게 노력하고 그 욕구를 통제한 후에는 더 큰 성취를 꼭 맛보게 해주어야 합니다.

 

올바른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이의 삶을 바꿀 것입니다.


공부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봅니다.


만족지연 능력의 발달을 위해선 욕구를 참아 냈을 때의 더 큰 만족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하고 이러한 만족지연에 대한 지연 기간은 아이 개개인에게 적정한 기간이어야 합니다. 너무 먼 기간을 참아내게 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습니다.(지금 참고 공부하면 커서 넌 훌륭하게 될 거야처럼 말이죠)

 

이렇게 만족지연 능력이 향상되면 기본적인 욕구에 앞서 더 큰 성취를 위해 눈앞의 욕구는 인내하고 참아내는 아이가 될 것이며 이러한 작은 결과물들은 분명 지금의 저보다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게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입니다. 

 

미성숙한 아빠의 완벽한 사랑 : 아들 셋을 키우는 아빠의 고군분투 이야기입니다.(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제가 아이들에게 한 행동들과 말들을 돌이켜 보면 신경질적이고 윽박지르고 통제만을 해오며 아이가 절로 잘 자라주기만을 바라 왔던 것 같습니다. 비록 지금의 공부와 노력이 아주 미미할지는 모르나 아이들에게 지금의 내 모습보다 조금이라도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게 만들어 준다면 그것으로도 저는 만족할 것입니다.

 

오늘은 만족지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태도로 어떤 대화를 해야 할지 고민을 해본 하루였습니다.  앞으로도 저 코딱지는 계속해서 아이를 잘 키우기위해 공부와 노력을 할 것이며 이 육아 카테고리를 계속해서 운영해 나갈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